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항문건강체크

프로야구경기결과

미지의서울

오늘무료운세보기

나인퍼즐

오늘뭐먹지룰렛

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빅데이터 분석 : 청소년 고민 1위는 "친구"(통합데이터지도)

👍😁❤️😊😂🤣😍👌 2021. 12. 22. 22:40

이곳은 빈칸입니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고민 1위는 "친구"로 분석됐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2019년~2020년 동안 청소년 고민을 조사한 결과 1위 친구, 2위 전학, 3위 엄마, 4위 자퇴, 5위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위의 분석은 통합데이터지도의 데이터 스토리 "청소년은 어떤 고민을 하고 있을까?(작성자 : 케글 그랜드 마스터 안수빈 님)"에 제시된 결과이다. 


빅데이터 분석 : 청소년 고민 1위는 "친구"

"청소년은 어떤 고민을 하고 있을까?"에 제시된 분석방법과 분석결과를 알아보자

분석방법

분석프로그램

이번 분석에 쓰인 프로그램은 파이썬이다. 그리고 데이터 분석, 시각화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였다.

프로그램 : 파이썬
라이브러리 : pandas, numpy, matplotlib, seaborn, world-cloud, bar-chart-race 등

자료

청소년 고민 우선순위 자료는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에서 제공하는 원천데이터(https://www.bigdata-culture.kr/bigdata/user/data_market/detail.do?id=9c7195d0-4f36-11eb-af9a-4b03f0a582d6)이다.

 

2019년 1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총 23개월 간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2009년 1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우리나라 청소년 고민 순위를 차례로 살펴보자. 아래 그림에서 큰 글씨가 순위가 높은 것이다. 방송 매체 많이 자주 봤던 그래픽이다. 

청소년 고민 순위 그래픽

청소년 고민 상위 20위는 중 친구(30.1%)가 압도적으로 1위로 분석되었다. 

빅데이터 분석 : 청소년 고민 1위
청소년 고민 상위 20

데이터 기간 23개월 동안 꾸준히 1위를 달리고 있는 고민이 친구이다.

23개월 동안 청소년 고민 변화

친구

위의 bar-chart-race에서도 봤지만 조사기간 동안 부동의 1위를 차지했다. 공부가 1위 일 줄 알았는데 부모 생각하고 아이들 생각하고는 많이 다르다는 것을 느꼈다.

 

공부, 시험, 학원

조사대상이 청소년이므로 다양한 키워드로 공부에 대한 고민들(약 9.7%)을 살펴볼 수 있다.

 

자퇴, 전학, 검정고시

자퇴(2번째), 전학(4번째), 검정고시(19번째) 19번째로 많은 고민 검색 키워드로 총조회수의 약 17%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왜 이런 고민을 하고 있는지 좀 의외였다. 상세자료에 따르면 2019년에 비해 2020년에 자퇴와 전학에 대한 검색 키워드 조회수가 떨어졌다고 한다. 

 

이번 데이터 분석자는 코로나 19로 인해 등교가 적어지고, 학업 부담이 줄어들어 청소년들의 전학에 해한 고민이 후순위로 밀려난 것으로 보인다고 추측했다.

 

나는 자퇴, 전학, 검정고시란 키워드에서 현재 학교 생활에 대한 어려움(학교폭력, 공부 중압감 등)이 있어서 그런 것 아닌가라고 생각해보았다. 

 

엄마, 아빠, 부모님

부모님과 관련된 고민은 시기적으로 큰 변화 없이 전체 조회수에서 높은 순위, 높은 비율(약 11.8%)을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 엄마, 아빠, 부모님에 대한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지 궁금하다.

 

임신, 생리, 초경

2019년에 비해 2020년에 임신에 대한 검색 조회수가 높아졌다고 한다. 사유에 대해서는 알 수 없으나 데이터 분석자의 조사에 의하면 외국에서는 코로나 기간 중 청소년의 임신이 증가했다는 사례가 있다고 한다.

 

생리, 초경 키워드도 2020년에 증가했다. 작성자는 "원격수업에 아이들 성교육 쉽지 않네"라는 기사를 링크하면서 코로나 여파로 성교육 부재가 키워드 증가의 원인으로 분석했다. 어느 정도 타당한 분석으로 생각된다.

 

주휴수당

청소년 고민에 주휴수당이 있다는 것에 놀랐다. 전혀 생각하지 못한 부분이다. 2019년에는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았으나 2020년 4월에서 9월까지 매우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고 한다. 작성자도 지적한 부분이지만 주휴수당을 많이 검색했다는 것은 이와 관련하여 부당한 경험이 있어서 일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

숨쉬기

숨쉬기라는 키워드도 높은 순위에 있다. 언뜻 생각했을 때는 코로나 마스크 때문으로 생각했는데 코로나 이전에도 많이 검색했다고 한다. 무엇 때문에 숨쉬기가 고민이었을까? 어떤 종류의 스트레스 때문일까? 정확한 이유가 궁금해지는 결과이다.

 

마무리

위에 제시된 것 외 기타 다른 키워드와 상세한 조사 결과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서 확인해 보길 바랍니다.

 

청소년은 어떤 고민을 하고 있을까?


통합데이터지도란?

위의 조사 내용이 수록된 통합데이터지도에 대해서 잠깐 알아보겠다.

목 적

공공과 민간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쉽게 검색∙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기대효과

1. 통합 데이터 지도는 16개 분야 빅데이터 플랫폼과 180개 빅데이터 센터, AI허브 등에서 생산한 데이터의 소재정보를 제공
2. 이용자는 공공과 민간의 데이터를 한 곳에서 쉽게 찾아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데이터를 활용하여 혁신적인 서비스를 창출
3.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르네상스가 도래하는데 대한민국이 이를 선도하는 모델 국가로 우뚝 서는데 일조

 

자료 : 통합데이터지도 홈페이지

 

통합 데이터 지도

통합 데이터 지도는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가 생산 유통한 공공‧민간 데이터를 쉽게 연계∙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데이터를 친숙하게 이용하고 나아가 데이터 거래의 장을 구축하여 데이

www.bigdata-map.kr

 

 

728x90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

티스토리툴바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